본문 바로가기

나는 지구인이다25

약 버리는 방법 - 물약, 비타민, 가루약 종류별 버리는 방법 집에 상비약 많이 가지고 계시죠? 저도 아이들 다칠 때를 대비해서 아이들 열 날 때 대비해서 준비해 둔 약들이 여기 저기 돌아다니고 있어요. 그러다 보니 약을 또 사는 경우도 있고 약의 유효기간도 놓치고 방치 되어 있는 약도 많아요. 생각보다 약의 유통기간이 잛더라고요. 이렇게 유통기간이 지난 약들 어찌 버리시나요? 혹시 일반 쓰레기로 버리고 계신 건 아니시죠? 유통기간 지난 약 버리는 방법이 있답니다. 약을 함부로 버리면 안되는 이유 종량제 봉투에 버리게 되면 쓰레기로 매립되어 토양을 오염시키고 화장실에 버리게되면 도시하수로 배출되어 수질 오염을 시킬 수 있습니다. 사람도 약을 섞어 먹으면 생명의 위험을 일으키는데 동물들에게도 당연히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유를 밝힐 수도 없는 생태계 교란의 원.. 2022. 9. 21.
종류가 많은 플라스틱, 모두가 다 재활용이 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건 플라스틱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주변을 둘러보아도 다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요. 하루 플라스틱을 하지 않고 살 수 있을까 싶을 만큼 우리는 너무나 자연스럽게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것이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에 담겨있기 때문이지요. 플라스틱 종류는 정말 정말 많은데 현재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플라스틱의 종류를 7까지로 분리해 놓았습니다. 이는 플라스틱의 부패시간은 500년 이상이 되고 더 이상 매립할 곳도 없는 한계에 달했기에 올바르게 분리 배추하고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그럼 플러스틱은 어떻게 구분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플라스틱의 분류 플라스틱 원료에 따라 1에서 7까지 7개의 숫자로 분류됩니다. 1. PETE 또는 PET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 2022. 9. 15.
쓰레기 썩는 기간 생각하면 분리배출 철저히 물건 구매도 적게 우리가 분리배출하지 않고 종량제 봉투로 버리는 쓰레기는 어찌 처리되는지 생각해 보셨나요? 폐기물은 소각과 매립으로 구분되어지는데 그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매립입니다. 그런데 더 이상 매립할 곳이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거예요. 우리가 편리하게 사용하는 물건들의 대부분이 쓰레기가 되면서 그 쓰레기 썩는 기간은 더 길어지고 있어요. 쓰레기가 지구에서 분해가 되려면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할까요? ■ 100년 이내에 썩는 쓰레기 종이 - 2~5개월 재활용도 잘 되는 종이는 썩는 기간도 잛아요. 우유팩 - 5년 우유팩도 썩는데 5년이나 걸리다고 하니 꼭 화장지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분리배출해야겠어요. 재활용 종이 1톤을 사용하면 나무 17그루와 물 28톤이 절감됩니다. 담배필터 - 10년 길에 버려진 .. 2022. 9. 13.
재활용이 안되는 종이. 재활용으로 분리배출하는 건 아니시죠? 재활용이 안되는 종이. 재활용으로 분리배출하는 건 아니시죠? 재활용 안 되는 종이가 있다는 거 아셨나요? 생각보다 많아서 놀랐어요. 제가 제대로 분리배출을 하고 있지 않더라고요. 재활용 안 되는 종이 어떤 것이 알아보아요. 1.종이컵 종이팩은 코팅되어 있어서 종이류로 분리배출하면 안되요. 물이 흡수되지 못하게 플라스틱 코팅이 되어 있어요. 종이컵과 종이류가 함께 분리배출 된다면 다시 한 번 분류 작을 해야 하기에 추가 비용이 들어가 그냥 버려진다고 해요. 하지만 종이컵만 모아 따로 분리배출하면 이는 재활용된다고 하니 적극적으로 종이류와 종이컵을 따로 분리배출해야 합니다. 따로 분리배출 못할 경우에는 일반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더 효율적인 분리배출이 되는 거랍니다. 그리고 종이컵도 내부가 깨끗할 때만 분리배.. 2022. 9. 6.
분리배출 투명 페트병 제대로 버리는 방법 분리배출 잘 하고 계시나요? 전 요즘 택배오면 테이프 붙어 있는데 정말 열심히 제거해서 박스 납작하게 만들어 분리배출하고 있답니다. 내 아이가 살아갈 지구가 위험하다는 것이 이젠 직접적으로 느끼고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국가에서도 더 많은 재활용을 하기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도 의무화 했습니다. 2021년 12월 25년부터 전국 공동 주택에서 투명 페트병도 별도 분리 배출하는 것이 의무화 되었어요. 공동 주택이라함은 300가구 이상의 공동주택 또는 150세대 이상으로 승강이가 설치된 아파트가 포함이 된답니다. 역시 우리 아파트도 시행 대상이 되고 그 당시 안내 방송도 엄청 나왔어요. 투명 페트병 왜 분리배출 대상이 되었을까? 물통이나 음료수 투명 페트병은 단일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서 재활용률이 높은 대.. 2022. 9. 3.
분리배출 우유팩 제대로 하는 방법 우유 많이 드시죠? 요즘 아들이 우유를 엄청 잘 먹고 있어요. 항상 1000ml 2~3개씩 사요. 우유팩은 제대로 분리배출만 하면 재활용이 잘 되는 것 중에 하나예요. 그래서 정말 잘 분리배출하고 싶어요. 그런데 아파트 분리수거 하는 날 분리수거한 거 보면 '내가 왜 우유곽을 닦아서 버렸을까?'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았어요. 제대로 재활용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고등학교 때 봉사활동 하나로 우유팩 정리했던 기억이 있어요. 아이들이 먹은 우유 씻어서 펼쳐서 말렸던.... 그때는 정말 깨끗이 빨리 했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그 부분에 민감해지더라고요. 씻어서 말려서 펼쳐서 분리배출을 항상 했어요. 그런데 분리수거 가보면 저만 그렇게 하고 있더라고요. 제가 한 분리수거의 가치가 떨어지는 느낌이 항상.. 2022.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