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는 지구인이다

약 버리는 방법 - 물약, 비타민, 가루약 종류별 버리는 방법

by 깊은라온 2022. 9. 21.
반응형

 

집에 상비약 많이 가지고 계시죠? 

저도 아이들 다칠 때를 대비해서 아이들 열 날 때 대비해서  준비해 둔 약들이 여기 저기 돌아다니고 있어요.

그러다 보니 약을 또 사는 경우도 있고 약의 유효기간도 놓치고 방치 되어 있는 약도 많아요.

생각보다 약의 유통기간이 잛더라고요.

 

이렇게 유통기간이 지난 약들 어찌 버리시나요? 혹시 일반 쓰레기로 버리고 계신 건 아니시죠?

유통기간 지난 약 버리는 방법이 있답니다.

 

약을 함부로 버리면 안되는 이유

종량제 봉투에 버리게 되면 쓰레기로 매립되어 토양을 오염시키고 화장실에 버리게되면 도시하수로 배출되어 수질 오염을 시킬 수 있습니다. 사람도 약을 섞어 먹으면 생명의 위험을 일으키는데 동물들에게도 당연히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유를 밝힐 수도 없는 생태계 교란의 원이 될 수도 있답니다.

 

 

유통기긴 지난 약 올바르게 버리는 방법

포장지를 제거해 약국, 보건소에 배치된 폐의약품 전용 수거함에 배출해야 합니다.

º 알약 - 포장된 비닐, 종이 등을 제거한 후 내용물만 봉투에 담아 배출
º 가루약 - 포장지를 뜯지 않고 배출
º 물약 - 한병에 모은 후 새지 않도록 밀봉해 배출
º 안약 연고 바르는 물약 - 겉에 종이박스 분리해 폐기하고 용기 째 배출

 

 

폐의약품 전용 수거함 위치 확인 방법

스마트 서울맵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공공생리대도 여기서 확인했었는데 폐의약품 전용 수거함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https://search.naver.com/

 

집근처에는 휘경1동 주민센타, 휘경2동 주민센타에 비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약 버리는 방법 실천하기

집에 약이 한 가득 봉투에 담겨있습니다. 종량제 봉투에 버리면 안된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버리지는 못하고 계속 모아두고 있었거든요.

포스팅하면서 집에 있는 약 유통기한도 확인하고 정리도 하면서 약도 올바르게 버려야겠어요. 

오늘은 여기까지 포스팅하고 이번 주 내로 꼭 하는 것으로 약속하고 오늘 포스팅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