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배출 잘 하고 계시나요?
전 요즘 택배오면 테이프 붙어 있는데 정말 열심히 제거해서 박스 납작하게 만들어 분리배출하고 있답니다.
내 아이가 살아갈 지구가 위험하다는 것이 이젠 직접적으로 느끼고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국가에서도 더 많은 재활용을 하기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도 의무화 했습니다.
2021년 12월 25년부터 전국 공동 주택에서 투명 페트병도 별도 분리 배출하는 것이 의무화 되었어요.
공동 주택이라함은 300가구 이상의 공동주택 또는 150세대 이상으로 승강이가 설치된 아파트가 포함이 된답니다.
역시 우리 아파트도 시행 대상이 되고 그 당시 안내 방송도 엄청 나왔어요.
투명 페트병 왜 분리배출 대상이 되었을까?
물통이나 음료수 투명 페트병은 단일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서 재활용률이 높은 대상입니다.
투명 페티병은 색이 있는 플라스틱보다 오염도가 낮아 세척 과정이 간편해서 다양한 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어요.
투명 페트병은 재생원료가 되어 시트원단, 페트 와이어, 섬유류, 부직포 등으로 재탄생 할 수 있답니다.
분리배출 투명 페트병 제대로 버리는 방법
시행한 분리배출 방법으로 음료수 병 겉에 붙어 있는 비닐을 떼어 내는 거였어요.
그래도 혹시 몰라 정학환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검색을 했고 한국환경공단의 블로그에서 방법을 찾았습니다.
① 투명 페트‘병’만 분리한다.
페트면서 병인 것만, 생수와 음료병만 모아 배출한다.
페트 포장재는 제품에 따라 다른 플라스틱이 섞여 있을 수 있어 재생 원료 품질을 저하하기 때문이다.
② 라벨은 뗀다.
음료나 생수병에 부착된 라벨은 주로 폴리 프로필렌(PP) 소재로 만들어진다.
페트(PET)와 섞이면 재활용 품질을 떨어트리기에 라벨은 떼서 비닐로 배출한다.
③ 내부를 세척하고 뚜껑을 열어 압축한다.
생수병의 경우 세척이 따로 필요 없다. 음료병의 경우 오염도를 낮추려면 물로 한 번 헹궈주는 것이 좋다.
④뚜껑과 고리는 분리해도, 안 해도 좋다
환경부 자원 재활용과 이경노 주무관에 따르면 뚜껑은 그대로 닫고 고리도 그대로 둔 채 배출해도 괜찮다고 한다.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 실천
요즘엔 에코절취선이 있어서 편하게 되어 있지만 손 힘으로만 하는 건 좀 힘들어요.
기업에서도 무라벨 투명 페트병을 만들고 있어서 좀 더 편해 진 것도 있답니다.
분리배출 투명페트병 Q&A
1. 투명 페트병 뚜껑과 고리는 어찌 하나요?
분리해도 되고 안 해도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 투명 페트병을 압축해서 뚜껑 덮어서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할 것입니다.
트병 뚜껑은 일반 플라스틱 재질(HDPE)이고, 크기가 작아 재활용이 불가능하지만 파쇄 후 선별 과정에서 자동으로 분리가 된다고 합니다.
투명 페트병은 별도 선별 과정을 갖는데 풍력선별과 비중선별로 구분한다고 합니다.
2. 투명 페트병은 왜 압축해서 분리배출해야 하나요?
페트병을 최대한 압축해서 배출하면 부피가 줄어들어 수거 업체의 운송/압축/보관 과정에 큰 도움이 됩니다.
기업에서도 투명 페트병 무라벨 제작
'나는 지구인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류가 많은 플라스틱, 모두가 다 재활용이 되는 것은 아니다. (0) | 2022.09.15 |
---|---|
쓰레기 썩는 기간 생각하면 분리배출 철저히 물건 구매도 적게 (0) | 2022.09.13 |
재활용이 안되는 종이. 재활용으로 분리배출하는 건 아니시죠? (0) | 2022.09.06 |
분리배출 우유팩 제대로 하는 방법 (0) | 2022.09.01 |
양말목, 삼베실 리사이클로 지구를 지켜요. (0) | 2022.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