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는 지구인이다

지구의 날 4월 22일 , 기후변화주간 "나는 지구인이다"

by 깊은라온 2023. 4. 13.
반응형

 

4월 22일은 지구의 날입니다.

식탁에 앉아 밥을 먹고 멍하니 있다가 달력을 보니 지구위에 새싹이  그러져 있더라구요.
'아하 4월에는 지구의 날이 있지'







코로나로 어린 친구들이 마스크를 쓰고 나들이 가는 모습을 볼 때면 괜히 미안해지는 마음이 들더라고요.

어른들이 지구를 더 아꼈더라면 2,3살 아이들이 마스크를 써야만 밖을 나와야 하는 상황은 만들지 않았을텐데 말이죠.

제가 뭐 대단한 환경보호운동가는 아니지만 실천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하면 좋을 것 같아서 환경전문가에게 배우면 좀 더 나을 것 같아 '그린리더' 교육을 듣기로 했습니다.

 

  • 수업 전에 설문조사를 하더라고요.
  • 당신은 지구인이라고 생각합니까?
  • 지구인이라고 생각했던 적이 언제였을까요?
  • 지구를 배웠던 때?

일상적 생활을 하면서 내가 지구인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 것 같아요.
"나는 지구인이다 " 라고 생각한다면 마음이 너무나 불편했을 거에요.

예전에 아기 바다거북이 코에 빨대를 꽂혀 있는 걸 보고는 내가 나도 모르게 생명을 죽이고 있는 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했지요.


그 때부터 집에서 빨대를 사용하지 않고 있고 커피 먹을 때도 빨대 없이 먹으려고 했었죠.

인간이 살아가면서 먹고 살기 위해 동물을 죽이는 경우도 있죠.
(요즘은 그것도 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는 분들도 계시죠.)

​하지만 내가 편하게 사는 걸로 다른 생명이 아프고 괴롭다면 한 번쯤은 생각해 봐야 한다고 봐요.
그리고 내가 조금 불편하게 사는 것도  고려해봐야하고요.

이런 생각없이 지내는 것보다는 마음 한쪽에 갖고 있는 것이 조금은 더 환경을 위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해줄테니깐요.

그런데 개인이 하는 건 한계가 있어요.
제가 아무리 재활용한다고 우유팩을 깨끗이 닦아재활용날 내어 놓아도 제가 가지고 온 우유팩은 몇 개 되지 않잖아요.


어떤 때는 내가 이렇게 해서 환경이 도움이 되는 걸까라는 생각도 하게 되더라구요.

​애들에게 음료수 먹고 씻어서 띠지 떼어서 버리라고 잔소리를 해도  그게 환경에 도움이 되는 걸까?
개인이 한다고 되는 걸까?

.
.
.

사회에서 바뀌지 않으면 쉽지 않은 일 같아요.
내가 아무리 전기를 아껴서도 그 전기가 화력발전소에서 만들어진다면...

물론 개인이 하는 부분도 너무나 중요하지만 사회에서 큰 변화가 없다면 지구는 사라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도 결국엔 제가 환경운동가가 될 거 아니니깐  개인으로 할 수 있는 것을 해야 하는 거겠죠.

​학교에서 기후위기 대응 행동이라고  나온 실천방안들이예요.
중학생들이 할 수 있는 실천들이죠.




나만이 아닌 아이도 실천할 수 있도록 살짝 언급은 해줘야겠어요.ㅎㅎㅎ
사춘기 긴 대화는  엄마도 아이도 힘드니깐요. 


지구의 날  (출처 : 네이버)

지구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서 자연보호자들이 제정한 지구 환경보호의 날로, 매년 4월 22일이다.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일깨우기 위해 제정한 날로, 유엔이 정한 세계환경의 날(6월 5일)과는 달리 순수 민간운동에서 출발했다. 이는 1970년 4월 22일 미국 위스콘신주의 게이로드 넬슨 상원의원이 앞서 1969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한 해상원유 유출사고를 계기로 환경문제에 관한 범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지구의 날'을 주창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당시 하버드생이었던 데니스 헤이즈가 주도해 첫 행사를 열었는데, 20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행사에 참가해 연설을 듣고, 토론회를 개최하고, 환경을 깨끗이 하기 위한 실천적인 행동을 하였다. 특히 뉴욕 5번가에서는 자동차의 통행을 금지시키고, 6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센트럴파크에서 열리는 환경집회에 참여하였다. 

이어 1972년에는 113개국 대표가 스웨덴 스톡홀름에 모여 '지구는 하나'라는 주제로 환경보전 활동에 유기적인 협조를 다짐하는 '인간환경선언'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이 지구의 날이 세계적 규모의 시민운동으로 확산된 것은 1990년에 이르면서부터로, 그해 지구의 날 행사에는 세계 150여 개국이 참가하여 지구 보호에 인류공영이 달려 있음을 호소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땅을, 이 하늘을, 우리 모두를 살리기 위해' 라는 슬로건 아래 '하나뿐인 지구, 하나뿐인 국토, 하나뿐인 생명'을 주제로 '지구의 날' 행사를 진행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매년 ‘지구의 날’을 전후한 일주일을 기후변화주간으로 정하여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저탄소생활 실천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소등행사 등을 전국 각지에서 진행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지구의 날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