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는 지구인이다

일상 속 에너지 절약 방법 - 대기전력 절약 방법

by 깊은라온 2022. 10. 26.
반응형

 

 

 

우리의 일상에서 에너지를 정말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나도 포스팅을 하기 위해 노트북을 사용하고 있고 핸드폰으로는 영상을 보고 있으니깐요.

 

우리 집 전기제품은 얼마나 있을까요?

 

전기를 사용을 하루 종일 해야 하는 냉장고, 김치냉장고, 정수기 등과 또 매일 사용하는 헤어드라이어, 텔레비전, 전자레인지, 전기밥솥, 매일은 아니지만 자주 사용하는 에어컨, 선풍기, 청소기, 다라미, 전기주전자, 토스터기, 세탁기 등등

전기가 없다면 우리는 살아갈 수가 없어요.

 

 

소비전력이란?

 

가전제품이 1초 동안 사용한 전기에너지의 양으로 단위는 W(와트)로 표시됩니다.

1W(소비전력)는  1V(전압)으로 1A(전류)가 흐를 때의 전력량입니다.

 W(소비전력) = V(전압) x A(전류)


소비전력량이란?

 

가전제품의 전력 소모량을 말합니다. 소비전력량은 KS 규격의 시험 방법으로 측정된 제품의 전력을 뜻합니다.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있는 제품은 소비전력이나 월간 소비전력량이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Wh(소비전력량) = W(소비전력량) x h(사용한 시간)

 

전기를 아끼려면 사용하는 전자제품을 줄이거나 아님 사용한 시간을 줄여야 전기를 아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사용하지 않고 있더라도 대기전력으로 전기가 소모되고 있는 전기제품이 많이 있습니다.

어떤 전자기기가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대기전력이란?

전원장치에 연결이 되어 있는 전기제품은 전원 스위치가 꺼져 있거나 사용을 하지 않을 때 최소한의 전기를 소모하게 됩니다. 이렇게 겉보기에는 꺼져있는 전기장치가 사용하는 전기 에너지를 대기 전력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의 전원을 꺼놨어도 대기전력으로 12.27W는 사용하고 있는 거지요.

 

2011년도 한국전기연구원에서 조사한 결과입니다.

10년이 넘은 자료이지만 그 이후에 조사한 내용이 없더라구요.

대기전력이 우리가 사용하는 전력의 6%나 된다고 하니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에너지 절약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가전기기 대기전력소모량
2011년 한국전기연구원 조사자료

 

대기전력 절약하는 방법

 

1. 플로그 전원 뽑기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나 가구에 가려져 있을 경우 너무 힘든 방법이죠.

 

2. 멀티탭 전원 사용하기

멜티탭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이름을 표시해 놓고 필요하지 않는 전원을 OFF 합니다.

 

3. 스마트 플러그로 IoT 활용하기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해 핸드폰으로 전원을 끌 수 있도록 합니다.

 

 

가장 대기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셋톱박스 전원부터 끄는 연습을 해볼까 합니다.

대기전력을 절약해서 환경도 보호하고 우리 전기요금도 아껴보아요.

반응형